목차에서 핵심만 빠르게 보기
1. 예금이란?
2. 적금이란?
3. 단리와 복리의 뜻&이자지급 방식
1. 예금이란?
예금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일정 기간 동안 돈을 예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금을 개설하면 고객은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은행은 그 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면서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용합니다.
예금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일부 일반적인 예금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예금(Current Account or Checking Account):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으로, 일상적인 금융 거래를 위해 사용됩니다. 이 예금에는 이자가 거의 지급되지 않습니다.
✔️정기예금(Fixed Deposit or Term Deposit): 일정 기간 동안 돈을 예치하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는 예금입니다. 예치 기간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인출이 제한되며,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이자예금(Time Deposit Certificate): 정기예금과 유사하게 일정 기간 동안 돈을 예치하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는 예금입니다. 이 예금은 정기예금과 달리 예치 기간이 끝나면 자동으로 만기가 되며,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금은 가입 날부터 만기 해지일까지 전액을 모두 예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월 이자가 동일하며, 이를 합산하여 만기 이자로 지급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600만 원에 대해 12개월 연 5% 단리 예금상품을 가입했을 경우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단, 이해를 돕기 위해 세금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였습니다)
- 1개월차 : 600만 원 X 0.05% X (1/12) = 2만 5천 원
- 2개월 차 : 600만 원 X 0.05% X (1/12) = 2만 5천 원
- .......
- 12개월 차 : 600만 원 X 0.05% X (1/12) = 2만 5천 원
위와 같이 600만 원에 대해 매월 2만 5천 원 이자가 적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상품 만기 시에는 12개월치 이자인 30만 원(2만 5천 원 X 12개월)을 지급받게 되는 것입니다.
예금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따라 다양한 혜택과 조건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예금을 개설하기 전에 이자율, 수수료, 최소 예치 금액 등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예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적금이란?
적금은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저축하여 목돈을 마련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적금은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다양한 금융 기관에서 제공됩니다. 적금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금액 또는 변동된 금액을 정기적으로 저축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일반적으로 적금은 고정 이율로 이자를 지급하며, 저축 기간이 길수록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 납입액이 100만 원인 12개월 적금을 가입했을 때, 1회차 납부 금액은 예치 기간이 12개월이고, 2회차 납부 금액은 예치 기간이 11개월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이자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아래 예시를 통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월 납입액이 100만원인 12개월 연 5% 단리 정기적금 상품을 가입했을 경우입니다.
(단, 이해를 돕기 위해 세금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였습니다)
- 1회차 납입 : 100만원 X 0.05% X (12/12개월) = 50,000원
- 2회차 납입 : 100만원 X 0.05% X (11/12개월) = 45,833원
- .......
- 12회 차 납입 : 100만 원 X 0.05% X (1/12개월) = 4,167원
위와 같이, 월별 납입한 금액이 얼마 동안 예치되었는지에 따라 이자가 결정되며, 해당 상품 만기 시에는 12개월치 이자인 32만 5천 원(위의 계산 이자 총합)을 지급받게 됩니다.
적금은 예금과 달리 저축 기간 동안 중도 해지가 어렵거나, 해지 시 이자율이 낮아지는 등의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금을 가입할 때는 저축 기간을 충분히 고려하고, 자신의 금융 계획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금은 목돈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금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3. 단리와 복리의 뜻&이자지급 방식
단리와 복리는 금융에서 이자를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1. 단리: 단리는 원금에 대한 일정한 이자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5%의 단리로 1년 동안 예금한다면, 이자는 1,000만원 x 5% = 50만 원이 됩니다.
2. 복리: 복리는 원금과 이전 해의 이자를 모두 포함한 총액수에 대해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5%의 복리로 1년 동안 예금한다면, 첫 해의 이자는 1,000만원 x 5% = 50만 원가 됩니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1,000만원 + 50만원 (이전 해의 이자) = 1,050만 원를 기준으로 1,050만원 x 5% = 52.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이전 해의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이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단리 복리 총정리
1. 단리 : 원금+이자
2. 복리 : [원금+이자]+이자
3. 단리 복리에 대해서 너무 어려워하고 계신다면 네이버 "금융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함께 보면 유익한글
https://convenientpolicy.tistory.com/23
일상속 필수 경제용어!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자!
목차에서 핵심만 빠르게 보기 1. GDP란? 2. 인플레이션 3. 이자율 4. 환율 5. 통화정책 6. 물가지수 7. 경상수지 8. 재정정책 9. 주식과 채권 10. 신용등급 일상 속 잘 알지 못하여 당황하곤 하는 필수 경
convenientpolicy.tistory.com
https://convenientpolicy.tistory.com/26
기준금리와 시중금리란? 간단하게 알아보자!(feat. 경제용어)
목차에서 핵심만 빠르게 보기 1. 금리란? 2. 금리의 종류 3. 기준금리와 시중금리의 차이 1. 금리란? 돈을 빌린 사람은 일정기간 동안 돈을 쓰고 난 다음 빌린 원금 외에 돈을 쓴 데 대한 대가를 지
convenientpolicy.tistory.com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와 시중금리란? 간단하게 알아보자!(feat. 경제용어) (6) | 2024.02.11 |
---|---|
일상속 필수 경제용어!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자! (56) | 2024.02.08 |
청년도약계좌✨ 조건,신청방법,신청기간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기! (4) | 2024.02.01 |
연말정산 환급금 최대로 받는 법! 연말정산 완전 정복! (0) | 2024.01.29 |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2월 13일까지 수입금액 신고! 놓치지 마세요! (2) | 2024.01.28 |